전체 글335 부모의 지나친 사랑 우리는 저출산 시대로 들어서면서 예전과는 다르게 소수의 자녀를 두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부모들은 이전의 세대보다 자녀의 양육에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성인이 되어도 독립시키지 않는 '캥거루족'을 만들기도 하는 시대인 만큼 지나친 관심과 통제가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거나 결정하는 경험을 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우리는 영유아기, 유년기, 청소년기를 거치며 각 단계에 맞는 발달을 경험합니다. 부모를 비롯한 주요 양육자로부터의 정서적, 신체적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환경적 자극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으면 언어발달과 신체 발달, 정서발달 등에 지장이 생깁니다. 그러나 반대로 주변의 지나친 관심과 통제가 나타날 떄는 부모를 비롯한 주 양육자가 모든 것을 간섭하고 결정하면서 아이가 스스로.. 2024. 7. 23. 어떻게 하면 집착을 버릴 수 있을까요? 집착 (Obsession)어떤 것에 늘 마음이 쏠려서 잊지 못하고 매달림입니다. 유의어로 애착, 유해, 집념 등이 있습니다. 집착은 대상 지향적이라는 특성을 지닙니다. 서로 사랑해 연인이 된 사람이 상대에게 집착하면 상대를 옥죄게 됩니다. 결국 집착이 서로를 구속하고, 지치게 만들어 불행을 싹트게 합니다. 돈에 집착하면 돈의 노예가 되고, 자리에 집착하면 자리에 노예가 됩니다. 사람이 사람답지 못하고 추해집니다. 그러므로 집착은 소유욕이요, 탐욕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집착은 상대방에게 불편함을 주고, 결국 관계를 파괴하는 원인이 됩니다.집착하는 사람의 특징▶ 자존감이 낮다."너만 있으면 돼" 자신에게 자신감이 없고 상대방에게 의지하려고 합니다. 나에게 없는 무언가를 상대방으로 채우려 하며, 상대방의 자.. 2024. 7. 22. 아이와 애착형성 '착'은 우리의 삶과 관계 형성에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입니다. 애착은 흔히 어린 시절 유아가 부모나 보호자와 맺는 관계 형성 정도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어린 시절 형성된 착의 형태(애착이든 집착이든)가 성인이 된 후의 착의 형태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한 성인이 사회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과 안정적인 관계를 맺느냐, 그렇지 않으면 불안정하거나 거부하거나 두려운 관계를 맺게 되느냐의 문제는 어린 시절 형성된 '착의 형태'와 큰 관계가 있습니다. 이는 평생에 걸쳐 바뀌고 다시 형성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애착사전적 의미몹시 사랑하거나 끌리어서 떨어지지 아니함. 또는 그런 마음아이와 애착 형성, 왜 중요할까요?애착이란 아이와 엄마 사이에 형성되는 친밀한 정서적 유대감을 말합니다. 애착이 형성.. 2024. 7. 18. '중2병' = 사춘기? 언제부터인가 '중2병'이라는 말은 '사춘기' 청소년을 대표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중학교 2학년 시기가 청소년의 정서적 과도기라고 말합니다. 중학생은 심리와 신체 발달 상태에서 과도기,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며, 부모와의 관계보다 친구 관계에 몰입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는 시기이죠. 이 시기에는 특유의 감수성과 상상력, 반항성과 허세가 최고조에 이르며 현실 기피, 우울증, 과대망상 증상도 보인다고 합니다. 또한 자신이 남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게 되어 남을 무시하기 시작합니다.중2는 시기적으로 다른 학년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중1, 3학년 학생보다 어른의 이야기를 더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초등학교에서 갓 올라온 중1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아직 자기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2024. 7. 17. 사춘기 변화와 이해하기 사춘기란?사춘기란 2차 성장이 형성되는, 성인이 되면서 마음과 몸이 변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여자는 대게 10~12세 (초4~초6), 남자는 11~14세 (초5~중2) 전후로 시작합니다. 기본적으로 아동기를 벗어나 성인의 정신과 신체를 갖추어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신과 신체를 갖춘다는 것은 사회적인 의미가 아니라 생물로서의 기능적인 의미를 말합니다. 즉, 2세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는 것. 사춘기에 동반되는 무수한 변화는 이러한 과정을 위해 분비되는 호르몬들의 작용으로 일어나는 것입니다. 사춘기 몸의 변화, 2차성징아이가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2차성징이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자연스러운 현상이기에 당황스러울 .. 2024. 7. 17. 내 뱃살 내장지방? 피하지방? 복부비만 다이어트 복부비만은 복부가 비만인, 뱃살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를 말합니다. 똥배, 올챙이배, 삼겹살 배가 있는데 복부가 유독 비만할 경우 다른 부위가 비만인 경우보다 건강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뱃살은 외관상 보기 안 좋을뿐더러 건강에도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뱃살이라고 다 같은 뱃살은 아닙니다. 뱃살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나뉘는데 내장지방이 많다면 건강을 위해 당장 빼는 게 좋습니다.내장지방과 피하지방 구분법내장지방은 복강 내 내장 주변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말하며 복강 안쪽 내장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장간막에 지방이 많이 쌓이는 경우를 내장비만이라고 합니다. 내장지방은 피하지방과 다르게 지방세포 사이에 염증세포가 잘 끼어들어 염증 물질을 분비하게 합니다. 내장지방이 분비하는 염증 물질은 혈관을.. 2024. 7. 12. 이전 1 ··· 51 52 53 54 55 56 다음 반응형